* 답에 대한 문제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와 문제에 대해 서술해야 하는 문제가 섞여 있습니다.
교과서가 개정됨에 따라 가급적이면 우리 친구들이 여러번 읽고, 손으로 한번씩은 다 써보는게 좋겠다는 마음으로 문제를 만들었습니다. (손으로 쓰는 방법이 가장 좋고, 안하는 것 보다는 타이핑으로라도 해보는게 좋습니다)
*하루에 몇문제씩 나눠서 풀도록 해주세요. (양이 제법 됩니다. ^^::)
문제는 6학년 1학기 교과서 3단원중 1단원 조선사회의 새로운 움직임에 대해서만 우선 냈습니다.
2단원과 3단원도 조만간에 올려놓도록 하겠습니다.
파일첨부합니다.
p.10
1. 징비록 (문제만들기)
2. 창덕궁 (문제만들기)
p.11
3. 보
4. 모내기법(이앙법)
5. 조선후기 일부 부유한 농민이 나타났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서술형)
6. 보부상
7. 경직(耕 밭갈 경, 織 짤 직)
8. 조선후기에 상품작물을 널리 재배하여 이것들을 장에 내다 팔아 많은 이득을 얻는 사람들이 생겼습니다. 이 상품작물들은 무엇일까요?
9. 조선은 두 차례의 전란을 겪으면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하여 여러 정책을 실시하였는데 나라의 재정(살림)을 늘리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두 가지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그 조사는 무엇일까요?
p.12
10. 대동법
11. 대동법이 처음 실시되었을 때 조선의 왕은 누구였을까요?
11-1. 이후 대동법이 확대 실시된 데에는 이 사람의 노력이 컸다고 합니다. 이 사람의 이름을 써주세요
12. 대동법이 조선에서 처음 실시된 지역은 어디인가요?
13. 특산물을 세금으로 낼 때의 문제점을 써주세요.
14. 대동법은 처음 경기도에서 실시되어 전국으로 확대 실시되기까지에는 100년이 걸렸습니다. 하지만 전국으로 확대되었을 때도 세금을 거두어 한성(오늘날 서울)로 보내지 않은 지역이 있는데요. 이곳은 어디이며, 그 이유를 써주세요
p.13
15. 동의보감
16. 사고( 史 역사 사, 庫 곳집 고)
17. 통신사
p.14
18. 북벌론
19. 효종은 어느 신하와 함께 북벌을 준비하였을까요?
20. 강화 초지진
21. 조선후기때 북벌은 꾸준하게 실천되었습니다( ○, X ) ←표시해주세요.
p.15
22. 팔도총도
23. 안용복
24. 동국대지도
p.16
25. 연행사
p.17
26. 조선후기 일부학자들을 중심으로 실학이 등장하였는데 실학이 등장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27. 실학자들이 관심을 가진 다양한 분야를 간략하게 적어주세요
p.18
28. 수령
29. 거중기의 모습이 실린 책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30. 경세유표
31. 목민심서
32. 조선후기의 실학자료 경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 여유당전서 등 500여권의 저술하신 분은 누구일까요? 관직에 있을 때 수원화성을 설계하였고, 거중기를 고안하여 수원화성을 건설하는데에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절감한 분이기도 합니다.
p.19~20
33. 탕평책(*)
34. 규장각
35. 수원화성
36. 수원화성의궤
37. 이번 교과서에서 수원화성의 비중이 높아졌습니다. 수원화성을 꼭 한번 다녀오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아래의 가, 나, 다, 라 는 지도와 설명을 잘 보고 써주세요.
가. 수원서북공심돈 –
나. 수원팔달문 –
다. 수원방화수류정 –
라. 수원 화홍문 –
p.21
* 아래(38~41)는 실학자의 이름입니다. 쓰신 책과 중요성을 써주세요.
38. 유득공
39. 유희
40. 정약전
41. 김정호
42. 대동여지도
p.22
43. 조선후기 중국에 다녀온 사신들이 조선에 소개한 서양문물은 무엇이었을까요?
p.23
44. 조선전기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세계지도의 이름을 각 각 쓴 후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써주세요.
p.24
45. 조선사람들이 천주교를 서학이라고 부른 이유를 써주세요.
46. 조선에서 천주교를 금지하고 탄압한 이유를 써주세요.
p.25
* 아래의 47~49는 25페이지를 잘 읽어보신후 요약해주세요.(완전~중요해요)
47. 홍대용
48. 박지원
49. 박제가
p.26~27
50. 풍속화
51. 조선후기 풍속화로 유명한 김홍도의 그림에는 ( ), ( ), ( )이 있다. ( ), ( ), ( )도 교과서에 나와있습니다.
52. 조선후기 풍속화로 유명한 이분은 주로 양반사회에 대한 풍자와 여성의 생활 등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분은 누구일까요?
* 보너스문제 – 이분의 대표작인 그림의 제목은 무엇일까요?
p.28
53. 조선후기에 백성들 사이에 유행한 그림으로 소재가 다양하고 그리는 방법에도 일정한 형식이 없는 그림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 문제를 풀어도 되고 안풀어도 되지만, 풀면 더 좋은 문제입니다.
가. 작호도
나. 화조도
다. 백수백복도
라. 문자도
p.29
54. 홍길동전
55. 대표적인 한글소설 5개를 써주세요.
56. 판소리는 원래 몇 마당으로 이루어져있었을까요?
57. 현재 전해지고 있는 판소리의 다섯 마당을 써주세요.
p.30
58. 탈춤이라고도 불리는 탈놀이의 주된 내용은 어떤 내용일까요?
59. 사서삼경
60. 새경
p.32
61. 청화백자
62. 옹기가 곡식이나 간장, 된장과 같은 장류 등을 저장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요?
p.33
63. 나전칠기
64. 소반
65. 경상
66. 떡살
67. 조각보
p.34
68. 차별없이 재산을 상속받으며 제사도 지내고 재혼도 할 수 있었던 고려의 여성과는 다르게 조선중기이후에 여성의 지위는 점차 낮아졌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p.35
69. 친정살이와 시집살이의 뜻을 써주세요.(간단하게 써주시면 됩니다. 개념알기문제입니다)
70. 혼례도를 그린 사람은 누구일까요?
p.36
71. 삼종지도
p.37
72. 길쌈
73. 나물캐기를 그리신 분은 누구일까요?
p.38
74. 신사임당의 아들로 임진왜란전에 10만양병설을 주장하신 분은 누구일까요?(책에 없는 내용)
74-1 . 신사임당의 유명한 그림으로 풀과 곤충을 소재로 한 그림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75. 허난설헌(요약해서 써주세요)
p.39
76. 만덕전을 지은 사람은?
p.40
77. 세도정치
78. 세도정치는 어느 왕 때부터 어느 왕 때까지 계속된 정치일까요?
p.41
79. 환곡
p.42
80. 1811년에 세도정치와 지역차별을 비판하면서 난을 일으킨 사람은 누구일까요?
81. 조선 팔도에서 특히 이곳은 오랫동안 많은 차별과 멸시를 당했던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서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습니다. 이 곳은 어디일까요?
82. 홍경래의 난이 진압된 곳은 어디일까요?
p.43
83. 1862년(임술년)에 이곳의 봉기를 시작으로 농민봉기는 북쪽의 함흥에서부터 남쪽의 제주까지 이르렀습니다(임술농민봉기). 환곡을 비롯한 세금징수문제와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개선되지 않자, 농민들이 관청으로 몰려가 탐관오리를 굴복시킨 봉기의 이름을 써주세요.
p.45(중요한 페이지입니다)
84. 동학을 창시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85. 동학은 무엇을 받아들여 만든 종교일까요?
86. 동학의 사상은 두가지인데 두가지와 뜻을 써주세요.
87. 동학은 이후에 무엇으로 이어졌을까요?
88. 용담유사
'쉬는타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5학년 2학기 1단원 문제입니다. (0) | 2016.03.09 |
---|---|
3월의 근황 (0) | 2016.03.07 |
다시 보고 싶은 만화책을 읽으며 나에게 한잔~ (0) | 2016.02.22 |
2월의 근황 (0) | 2016.02.02 |
연초부터 호텔예약~ ^^ (0) | 2016.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