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쉬는타임

6학년 1학기 Ⅲ단원 소단원(1,2,3) 문제입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사수업을 6학년 1학기 Ⅱ단원 일제강점기까지만 진행을 하기 때문에 광복이후의 단원인 Ⅲ단원은 교과서문제를 내지 않으려 했는데, 어머님들의 열화와 같은 요청으로 문제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Ⅲ단원의 4. 경제발전과 사회문화의 변화와 대한민국의 미래와 평화통일부분은 제외했습니다.

(6학년 1학기 교과서 137페이지, Ⅲ단원의 1,2,3항목까지 문제와 답안지 만들었습니다)


문제지 첨부파일 올립니다.(다운받으셔서 우리 친구들에게 전달해주세요)

--- 답안지는 목요일쯤 올립니다, 문제를 풀고 난 이후에 답안지를 주셔야 효과가 높습니다. 수업을 안한부분이라 목요일날 올려놓는 답안지에는 참고사항을 요모조모 넣어두었습니다 --- 번거로우시더라도, 문제지 먼저 다운받으시고, 목요일날에 답안지 다운받아서 전달부탁드립니다.


6_1_3단원_문제지.pdf



다운못받으시는 분들을 위하여 이곳에도 남깁니다.


(가급적 교과서를 펴고, 노트에 문제와 답을 써주시면 더 효과적입니다) -> 띵가쌤 추천방법

-622일날 답안지 다시 올려 놓을께요. 답안지는 우리 친구들이 문제를 다 푼 후에 출력해서 주세요. 참고자료등도 답안지에는 만들어두었습니다.(특히 우리나라 대통령부분)

 

.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소제목 1. 8.15 광복과 대한민국 수립

 

 

p.111

1. 2차 세계대전

2. 2차 세계대전이 다 끝나갈 무렵 1945년 미국은 일본에 두 개의 원자폭탄을 투하했는데, 그 곳은 어디인가요?

3. 우리나라가 광복을 맞이하였던 날은 몇 년도 몇월 몇일인지 써주세요.

 

p.112

4. 조선건국준비위원회

5.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할 때 중심이 되었던 대표적인 민족지도자는 누구일까요?

6. 8.15 광복이후에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왔습니다. 아래문제에 답해주세요.

6-1. 이때 북쪽과 남쪽의 기준이 되었던 선은 무엇인가요?

6-2.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6-3.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들어오게 된 것은 어떤 결과를 낳게 되었을까요?

 

p.114

7. 8.15광복 이후에 우리 민족의 바람과는 달리 하나의 정부를 세우는 일은 어려워졌습니다. 그 이유를 써주세요.

 

p.115

8.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모스크바 삼상회의)

8-1. 12.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에 참여한 나라는 어느 나라일까요?

9. 모스크바 삼국 외상회의에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된 회의결과 써주세요.

10. 신탁통치(信託統治)

11.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의 결과가 발표된 후 우리 민족은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결정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신탁통치에 반대하는 사람들로 나뉘어 갈등을 겪었습니다. 이 무렵 북한에서는 사실상 정부역할을 담당하던 조직이 만들어져 토지개혁을 실시하고 공장과 철도를 국유화 하였는데 그 조직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p.116

12. 19463, 미소 공동 위원회가 열렸습니다.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된 이유를 적어주세요.

13.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임시정부 수립에 관한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4. 미소공동위원회에서 임시정부 수립에 어려움이 생기자 통일정부를 수립하기 어렵다면 남한만이라도 임시정부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15. 미소 공동 위원회에서 우리나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되자 미국은 한국 문제를 어디에 상정했을까요?

16. 국제연합

17. 유엔 한국 임시 위원단을 파견하고 남북한이 동시에 총선거를 실시하도록 결정한 국제 연합의 결정을 거부한 곳은 어디일까요?

18. 국제연합은 북한의 거부 이후에 어떤 결정을 내렸는지 써주세요.

19. 남한만의 총선거에 반대하고 북한을 방문하여 북한의 지도자들을 만나는 등 통일정부를 수립하려고 노력한 민족지도자를 써주세요. 임시정부의 주석이기도 했던 분입니다.

20. 김구선생님이 북한을 방문하여 북한의 지도자들을 만났던 회의이기도 합니다. 1948년 북한의 평양에서 열린 남한과 북한의 정치지도자, 사회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회의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p.117

21. 문제를 잘 읽고 O, X 표시를 해주세요

21-1. 남한만의 총선거가 결정되자 남한의 모든 사람들은 찬성하였다. ( )

21-2. 1948년에 실시된 남한만의 총선거인 5.10 총선거는 반대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투표율이 50%를 넘지 못했다. ( )

22. 1948년에 실시된,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국민이 국회의원을 뽑은 선거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23. 제헌국회

 

p.118

24. 19485.10 총선거를 통하여 구성된 제헌국회가 한 일을 써주세요.

25.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이 국내외에 선포된 날은 언제일까요?

26. 국제연합이 결정한 남북한 총선거의 실시를 반대했던 북한은 최고주권기관이자 최고입법기관으로 우리나라의 국회에 해당하는 기관을 구성하였는데 이 기관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27. 안타깝게 우리민족은 하나의 정부를 만들지 못하고 남과 북에 정부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194812월 국제 연합에서 합법정부로 승인한 정부는?

28. 다음은 헌법에 관한 문제입니다. ( )안을 채워주세요.

29. 대한민국 정부의 초대대통령을 써주세요.

 

p.119.

30. 초등학교라는 이름은 1996년에 바뀐 이름입니다. 그 이전에는 초등학교라고 불렀는데 초등학교라는 말은 일제 강점기인 1941년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초등학교라는 이름에는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요?

 

소제목 2. 민족의 상처, 6.25 전쟁

 

p.120.

31. 1950635, 북한은 한반도를 무력으로 통일하기 위하여 38도선을 넘어 남한을 침략해왔습니다. 남과 북 모두에게 씻을 수 없는 큰 상처를 주었던 이 전쟁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p.121.

32. 6.25 전쟁을 일으킨 북한은 전쟁을 일으키기 전에 군사력을 키웠습니다. 어느 나라의 도움을 받으면서 군사력을 키우고 전쟁을 준비하였을까요?

33. 6.25전쟁이 시작되자 국군은 북한군의 공격에 맞섰지만, 서울을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몇일만에 북한군에게 서울을 빼앗겼을까요?

34. 6.25 전쟁이 일어나자 여러 나라로 구성된 군대를 대한민국에 파병하고 물자를 지원한 기관은 어디일까요?

35. 국군과 국제연합은 서울을 되찾았습니다. 되찾게 된 사건을 써주세요.

 

p.122.

36. 국군과 국제연합군이 북쪽으로 전진하고 압록강에 이르러 통일을 눈앞에 두고 있었을 때, 북한을 도와 전쟁에 개입한 나라가 있습니다. 그 나라는 어느 나라일까요?

37. 국제연합군이 북한군, 중공군과 휴전협정을 시작했던 때는 몇 년도일까요?

 

38. 대한민국 정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휴전선을 정하여 전쟁을 멈추기로 약속하는 휴전협정이 맺어진 해와 날짜를 써주세요.

 

p.123.

39. 6.25 전쟁이 일어났을 때 정부는 수도 서울을 빼앗기고 어느 도시를 임시수도로 정했을까요?

40. 6.25 전쟁 때 많은 피난민들은 살던 곳을 떠나 피란민이 되었는데요. 많은 피란민들은 주로 어느 곳으로 이동했을까요?(강 이름을 넣어주세요)

 

p.125

41. 이곳은 6.25 전쟁당시 국군과 중국군이 치열하게 싸웠던 곳입니다. 이곳의 주인이 열흘간 24차례나 바뀔 정도로 치열하게 싸운 끝에 국군이 승리한 곳입니다. 이곳은 어디일까요?

42. 이 음식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6.25 전쟁 이후 미국이 주둔한 지역을 중심으로 생겨난 음식입니다. 미군 부대 근처에서 만든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합니다. 전쟁후에 먹을거리가 부족해진 사람들이 미군이 먹는 햄이나 소시지, 고기 등을 가져다 김치와 끓여먹었던 데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43. 함경도 사투리로 아버지라는 뜻을 가진 마을의 이름입니다. 함경도에서 피란 온 사람들이 휴전이후에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강원도 속초 지역에 마을을 만들고 정착하였습니다. 이 마을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소제목 3. 자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

 

p.127

44.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은 장기집권을 하기 위하여 옳지 못한 방법을 써서 대통령에 계속 당선되었습니다. 옳지 못한 방법은 무엇이었을까요?

 

45. 1960년에 정부통령 선거에서는 선거가 있기 전에 미리 투표를 하거나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투표를 하는 많은 부정이 발생하였는데 이 사건을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p.128

46. 3.15 부정선거에 분노한 학생과 시민은 선거무효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는데 이승만정부의 강경진압으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고 시민들은 더욱 분노하였습니다.

이곳에서 시작된 시위는 각계각층의 시민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시위로 확산되었습니다. 이곳은 어디일까요?

47. 1960419일 마침내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수많은 학생과 시민이 대규모 시위를 벌였고, 학생과 시민의 저항이 거세지자 이승만은 대통령직에서 물러났습니다.

1960419일 학생과 시민들이 독재에 반대하여 일으킨 민주주의 운동을 부르는 말은 무엇일까요?

 

p.129

48. 4.19 혁명이후에 이승만 대통령이 물러나고, 국회는 헌법을 고쳐서 나라살림은 누가 하도록 정했을까요?

49. 4.19혁명의 의의는 무엇일까요?

50.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과 나라살림을 맡았던 국무총리는 누구일까요?

 

p.130

51. 5.16 군사정변

52. 군인들이 힘을 앞세워 부당한 방법으로 정권을 잡는 정치상의 큰 변동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p.131

53. 개헌

54. 박정희 정부는 장기집권을 하기 위해서 헌법을 개헌하였는데, 대통령을 몇 번까지 할 수 있도록 개헌하였을까요?

55. 1972년 박정희 정부가 남북 분단의 현실과 국제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는 명분 아래, 대통령의 권한을 크게 강화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한 제도를 이르는 말은 무엇일까요?

 

 

p.132 우리나라는 대통령을 어떻게 뽑았을까?

 

퀴즈: 대한민국 초대대통령부터 현재대통령까지 이름을 써주세요.

 

p.134

56. 12.12사태

 

p.135

57. 19805월 광주에서 민주주의의 회복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58. 5.18 민주화운동때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일부 군인들이 군대를 동원하여 폭력적으로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때 희생된 분들과 당시 부상을 당하였다가 구금되어 고문과 옥사를 치룬후 사망하신 분들이 안치된 곳은 어디일까요?

 

p.136

59. 1980년 간접선거를 통하여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신문과 방송 등 언론을 통제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국민들을 탄압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60. 6월 민주항쟁

61. 6.29 민주화 선언

62. 6월 민주항쟁에서 시민들이 요구한 것은 무엇인가요?

62. 6월 민주항쟁의 의의를 써주세요.

 

p.137

64.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것은 언제일까요?

65. 풀뿌리민주주의 (위의 설명을 잘보고 교과서에 나오는 낱말로 써주세요)

66. 지방자치제도

 

-끝-

6_1_3단원_문제지.pdf
0.1MB

'쉬는타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운사에 가고싶다.  (0) 2016.09.28
여름나기 책 주문 ^^  (0) 2016.07.25
5학년 2학기 2단원 문제입니다.  (0) 2016.04.29
정신없는 4월 근황입니다 ^^::  (0) 2016.04.19
6학년 1학기 2단원 문제_파일첨부  (0) 2016.03.22